프로토에서는 지난시간 정말 많은 디자이너들과 만나왔습니다. 모든 삶을 직접 살아볼 수 없기에 우리가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듯이 그들과 나누었던 진솔한 이야기들은 프로토의 행보에 많은 영감과 방향성을 제시해주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을 프로토의 모든 디자이너들과 나누고자 디자이너들의 경험과 생각을 아카이빙 하고자 합니다. 프로토가 그랬듯 각기 다른 경험과 생각을 가진 디자이너들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겐 또 다른 간접경험이 되어 디자이너로서의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부산의 디자이너부터 나아가 전국의 디자이너들을 이 곳에서 만날 수 있길 바라며 인터뷰가 도움이 되셨다면 따뜻한 댓글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interview
시각디자이너, 캘리그라퍼, 라디오구성작가
이수현 님

Q. 안녕하세요.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나를 세가지 단어로 소개해주셔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이수현입니다. 조용한 풍경이 있는 동네에서 그림도 그리고 글씨도 쓰는 작은 아뜰리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살아가는 동안, 또 그 후에도 이 세상에 무엇이든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지며 삽니다.
Q.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이 시대를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을 아카이빙하고 있어요. 이렇게 모인 글들을 가지고 제 그림을 그리려고 해요. 좋은 그림은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의 마음을 반영한다고 하더라고요. 많은 시간을 지나온 그림들을 보면서 지금을 위한 위로와 답을 얻는 것처럼요. 저도 그런 힘을 나누고 싶어요.
Q. 어떻게 디자이너를 시작하게 되셨나요? 그리고 디자이너로 일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디자이너를 해야지!'하는 결심이 따로 있지는 않았습니다. 고등학교에서 우연히 그림을 그리게 됐고, 자연스레 미술 대학에 진학했습니다. 산업디자인학부에 들어가 다양한 수업을 들었고, 편집디자인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책과 종이를 좋아했던 게 큰 연결고리가 된 듯 합니다.
Q. 디자이너로서 일할 때 가장 힘든 점, 가장 보람을 느낄 때를 각각 한가지씩 꼽는다면?
제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가장 힘들고 답답해요.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제 작업물을 보고 눈을 떼지 못하는 사람을 봤을 때 입니다. 가슴에 폭죽이 터집니다. 펑펑


Q. 해왔던 작업 중 기억에 남는 작업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첫 번째, 수채화 채색을 할 수 있는 컬러링 달력을 만들어 판매하고, 시연 영상도 찍어 유튜브에 업로드 했던 프로젝트입니다. 하는 동안 참 재미 있었어요.


두 번째, 부산현대미술관에 '지속 가능한 미술관 : 미술과 환경'이라는 전시의 캡션을 모두 손 글씨로 썼던 프로젝트입니다. (*부산현대미술관의 학예사님께서 제 손 글씨인 '수현굴림체'를 보고 연락을 주셨어요.) 전시회가 열리는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오염을 줄이기 위해 쓰레기와 전기를 줄이는 것이 전시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는데요. 이면지와 펜, 그리고 순수한 제 노동력만을 사용하여 전시에 사용된 모든 캡션을 수작업으로 만들었습니다. 백여장이 넘는 캡션을 하나하나 쓴 덕분에 제 오른손이 떨어져 나가는 줄 알았지만, 전시회 내내 관람객들이 제가 쓴 캡션을 보고 읽는 모습들이 얼마나 반짝이던지... 잊지 못할 작업이었어요.


세 번째, 디자인 작업은 아닌데 인스타그램으로 사람들에게 질문을 한 적 있어요.'지금 이 세상은 어떤 세상이며 무엇을 원하는 세상 같냐.’는 다소 철학적인 질문이었는데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답을 해주었고 진지했으며 공감되고 슬펐어요. ‘모두 이런 결핍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같은 시대를, 같은 순간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지에 대해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해요. 이런 프로젝트를 자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마지막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의 월 페이퍼 일러스트를 그리는 프로젝트입니다. 1년 짜리 장기 프로젝트였는데요. 어려운 프로젝트라 기억에 남습니다.

Q. 디자이너 커뮤니티는 디자인 업무에 도움이 됐나요?
네, 도움이 됐어요.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삶 속에서 나름의 생각을 가지고 ‘정말 모두가 열심히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우리나라 청년에 대한 밝은 미래에 감사해졌어요. 제 디자인 업무에는.. 제가 그 마음은 있지만 노력은 별로 하지 않아서 감탄만 하고 또 끝이 난 것 같아요. 이 게으름은 어쩔 수 가 없나 본데 그래도 한 발자국씩 천천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Q. 작업에 자양분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책에 체크해놓은 문장들, 시대에 따라 분위기에 따라 바뀌는 전시회 관람, 순간 순간 지나가는 풍경들, 김광민의 피아노곡이 저에게는 소중한 자양분입니다.
Q. 업무 외 시간에는 주로 무엇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전시회 관람과 독서, 카페 방문, 그리고 자연을 보며 걷습니다.


Q. 아이디어가 잘 안 떠오를 때 뭘 하시나요? 특별히 들으시는 추천 노동요가 있나요?
김광민 작곡가의 피아노곡을 듣습니다.
Q. 최근의 참신한 경험 혹은 요즘 디자이너님께 가장 흥미를 주는 건 무엇인가요?
누군가의 마음이 담긴 그림들.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예술 인문학에 관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어요. 그림이 재테크가 되고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오는 시대잖아요. 좋은 그림은 그 시대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 어떻게 보면 당연한 말일 수도 있지만 내 가슴을 찔렀어요. ‘아, 내가 고흐와 이인성의 그림, 권진규의 조각을 보고 감동을 받았던 건 그가 그 시대에 느꼈던 인식과 감정을 전달받았기 때문이구나.’하고요. 디자이너로서 이 글을 쓰고 있지만 저는 결국엔 그림을 하고 싶어요. 그리 오래 되지 않은 결정이자 결심입니다.

Q. 어떤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좋은 디자인을 위해 디자이너로서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나요?
보기가 좋아서 뚫어지게 오래 봤을 때 그것에 담긴 것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하고 내 마음에 변화를 주는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은 저 혼자만의 시간입니다.
Q.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한 태도 혹은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덕목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주변을 바라볼 줄 아는 눈'이라고 생각합니다.
Q. 로컬에서의 디자이너 업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성능 좋은 컴퓨터, 커피 머신과 맛있는 원두, 식사 제공, 배울 수 있는 상사와 동료만 있다면. 야근 수당, 회사 앞 멋진 뷰, 문화적 혜택, 끊임없는 간식, 옳은 소리 해주는 상사 생각할수록 더 생겨나는 원하는 건 끝이 없는 것 같아요. 내 자리가 곧 내 세상인데 내가 그 환경을 작은 화분이라도 놓고 스스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Q. 여전히 로컬의 많은 디자이너들이 서울행을 고민하고 있어요. 부산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로서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서울로 갔을 때 얼마나 받아들이고 흡수할 수 있는지를 먼저 따져봐야 할 겁니다. 티비에 나오는 모든 것이 서울에 있는 디자이너의 작업이라고 할 때 그것만 보고 무작정 이직을 하면 안 된다는 거죠. 누구나 알 만한 디자인 회사가 아닌 다음엔 지역만 다를 뿐 상황은 모두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그곳에서 업무 외의 시간에 서울에 있는 무궁무진한 것들을 끊임없이 흡수하고 뱉어낼 수 있다면 응원해요. 그런데 말입니다. 한 시간이면 갈 수 있는 서울, 월세와 사람들에 쩔 필요가 있을까요. 반짝이는 바다 앞에서 노트북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세상에 살면서 말이죠.

Q. 부산의 디자인 일자리 혹은 일거리가 없다는 평이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작업물이 좋으면 어디에 있던 연락이 오더라고요. 물론 저는 아니지만 (웃음)
Q.로컬 디자이너로서 우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뭐라고 생각하나요?
'게으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글 ㅣ 디자이너 그룹 프로토(instagram.com/group.proto)
사진 및 자료 제공 ㅣ 이수현(Leesoohyun)
👤이수현
메일 ㅣ2notelife@naver.com
인스타그램 ㅣ@2notelife
유튜브 ㅣ https://www.youtube.com/@2notelife
프로토에서는 디자이너들의 생각과 스토리를 아카이빙하여 그동안 걸어온 이들의 삶이 사라지지 않는 유의미한 가치로 남기를 바랍니다. 지역의 디자인 산업을 살리는 것은 결국 사람의 힘이라는 것을 믿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디자이너들을 응원합니다.
프로토에서는 지난시간 정말 많은 디자이너들과 만나왔습니다. 모든 삶을 직접 살아볼 수 없기에 우리가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듯이 그들과 나누었던 진솔한 이야기들은 프로토의 행보에 많은 영감과 방향성을 제시해주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을 프로토의 모든 디자이너들과 나누고자 디자이너들의 경험과 생각을 아카이빙 하고자 합니다. 프로토가 그랬듯 각기 다른 경험과 생각을 가진 디자이너들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겐 또 다른 간접경험이 되어 디자이너로서의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부산의 디자이너부터 나아가 전국의 디자이너들을 이 곳에서 만날 수 있길 바라며 인터뷰가 도움이 되셨다면 따뜻한 댓글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interview
시각디자이너, 캘리그라퍼, 라디오구성작가
이수현 님
Q. 안녕하세요.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나를 세가지 단어로 소개해주셔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이수현입니다. 조용한 풍경이 있는 동네에서 그림도 그리고 글씨도 쓰는 작은 아뜰리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살아가는 동안, 또 그 후에도 이 세상에 무엇이든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지며 삽니다.
Q.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이 시대를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을 아카이빙하고 있어요. 이렇게 모인 글들을 가지고 제 그림을 그리려고 해요. 좋은 그림은 그 시대에 살았던 사람의 마음을 반영한다고 하더라고요. 많은 시간을 지나온 그림들을 보면서 지금을 위한 위로와 답을 얻는 것처럼요. 저도 그런 힘을 나누고 싶어요.
Q. 어떻게 디자이너를 시작하게 되셨나요? 그리고 디자이너로 일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디자이너를 해야지!'하는 결심이 따로 있지는 않았습니다. 고등학교에서 우연히 그림을 그리게 됐고, 자연스레 미술 대학에 진학했습니다. 산업디자인학부에 들어가 다양한 수업을 들었고, 편집디자인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책과 종이를 좋아했던 게 큰 연결고리가 된 듯 합니다.
Q. 디자이너로서 일할 때 가장 힘든 점, 가장 보람을 느낄 때를 각각 한가지씩 꼽는다면?
제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가장 힘들고 답답해요.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제 작업물을 보고 눈을 떼지 못하는 사람을 봤을 때 입니다. 가슴에 폭죽이 터집니다. 펑펑
Q. 해왔던 작업 중 기억에 남는 작업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첫 번째, 수채화 채색을 할 수 있는 컬러링 달력을 만들어 판매하고, 시연 영상도 찍어 유튜브에 업로드 했던 프로젝트입니다. 하는 동안 참 재미 있었어요.
두 번째, 부산현대미술관에 '지속 가능한 미술관 : 미술과 환경'이라는 전시의 캡션을 모두 손 글씨로 썼던 프로젝트입니다. (*부산현대미술관의 학예사님께서 제 손 글씨인 '수현굴림체'를 보고 연락을 주셨어요.) 전시회가 열리는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오염을 줄이기 위해 쓰레기와 전기를 줄이는 것이 전시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는데요. 이면지와 펜, 그리고 순수한 제 노동력만을 사용하여 전시에 사용된 모든 캡션을 수작업으로 만들었습니다. 백여장이 넘는 캡션을 하나하나 쓴 덕분에 제 오른손이 떨어져 나가는 줄 알았지만, 전시회 내내 관람객들이 제가 쓴 캡션을 보고 읽는 모습들이 얼마나 반짝이던지... 잊지 못할 작업이었어요.
세 번째, 디자인 작업은 아닌데 인스타그램으로 사람들에게 질문을 한 적 있어요.'지금 이 세상은 어떤 세상이며 무엇을 원하는 세상 같냐.’는 다소 철학적인 질문이었는데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답을 해주었고 진지했으며 공감되고 슬펐어요. ‘모두 이런 결핍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같은 시대를, 같은 순간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지에 대해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해요. 이런 프로젝트를 자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죠.
마지막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의 월 페이퍼 일러스트를 그리는 프로젝트입니다. 1년 짜리 장기 프로젝트였는데요. 어려운 프로젝트라 기억에 남습니다.
Q. 디자이너 커뮤니티는 디자인 업무에 도움이 됐나요?
네, 도움이 됐어요.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삶 속에서 나름의 생각을 가지고 ‘정말 모두가 열심히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우리나라 청년에 대한 밝은 미래에 감사해졌어요. 제 디자인 업무에는.. 제가 그 마음은 있지만 노력은 별로 하지 않아서 감탄만 하고 또 끝이 난 것 같아요. 이 게으름은 어쩔 수 가 없나 본데 그래도 한 발자국씩 천천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Q. 작업에 자양분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책에 체크해놓은 문장들, 시대에 따라 분위기에 따라 바뀌는 전시회 관람, 순간 순간 지나가는 풍경들, 김광민의 피아노곡이 저에게는 소중한 자양분입니다.
Q. 업무 외 시간에는 주로 무엇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전시회 관람과 독서, 카페 방문, 그리고 자연을 보며 걷습니다.
Q. 아이디어가 잘 안 떠오를 때 뭘 하시나요? 특별히 들으시는 추천 노동요가 있나요?
김광민 작곡가의 피아노곡을 듣습니다.
Q. 최근의 참신한 경험 혹은 요즘 디자이너님께 가장 흥미를 주는 건 무엇인가요?
누군가의 마음이 담긴 그림들.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예술 인문학에 관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어요. 그림이 재테크가 되고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오는 시대잖아요. 좋은 그림은 그 시대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 어떻게 보면 당연한 말일 수도 있지만 내 가슴을 찔렀어요. ‘아, 내가 고흐와 이인성의 그림, 권진규의 조각을 보고 감동을 받았던 건 그가 그 시대에 느꼈던 인식과 감정을 전달받았기 때문이구나.’하고요. 디자이너로서 이 글을 쓰고 있지만 저는 결국엔 그림을 하고 싶어요. 그리 오래 되지 않은 결정이자 결심입니다.
Q. 어떤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좋은 디자인을 위해 디자이너로서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나요?
보기가 좋아서 뚫어지게 오래 봤을 때 그것에 담긴 것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하고 내 마음에 변화를 주는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은 저 혼자만의 시간입니다.
Q.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한 태도 혹은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덕목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주변을 바라볼 줄 아는 눈'이라고 생각합니다.
Q. 로컬에서의 디자이너 업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성능 좋은 컴퓨터, 커피 머신과 맛있는 원두, 식사 제공, 배울 수 있는 상사와 동료만 있다면. 야근 수당, 회사 앞 멋진 뷰, 문화적 혜택, 끊임없는 간식, 옳은 소리 해주는 상사 생각할수록 더 생겨나는 원하는 건 끝이 없는 것 같아요. 내 자리가 곧 내 세상인데 내가 그 환경을 작은 화분이라도 놓고 스스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Q. 여전히 로컬의 많은 디자이너들이 서울행을 고민하고 있어요. 부산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로서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서울로 갔을 때 얼마나 받아들이고 흡수할 수 있는지를 먼저 따져봐야 할 겁니다. 티비에 나오는 모든 것이 서울에 있는 디자이너의 작업이라고 할 때 그것만 보고 무작정 이직을 하면 안 된다는 거죠. 누구나 알 만한 디자인 회사가 아닌 다음엔 지역만 다를 뿐 상황은 모두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그곳에서 업무 외의 시간에 서울에 있는 무궁무진한 것들을 끊임없이 흡수하고 뱉어낼 수 있다면 응원해요. 그런데 말입니다. 한 시간이면 갈 수 있는 서울, 월세와 사람들에 쩔 필요가 있을까요. 반짝이는 바다 앞에서 노트북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세상에 살면서 말이죠.
Q. 부산의 디자인 일자리 혹은 일거리가 없다는 평이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작업물이 좋으면 어디에 있던 연락이 오더라고요. 물론 저는 아니지만 (웃음)
Q.로컬 디자이너로서 우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뭐라고 생각하나요?
'게으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글 ㅣ 디자이너 그룹 프로토(instagram.com/group.proto)
사진 및 자료 제공 ㅣ 이수현(Leesoohyun)
👤이수현
메일 ㅣ2notelife@naver.com
인스타그램 ㅣ@2notelife
유튜브 ㅣ https://www.youtube.com/@2notelife
프로토에서는 디자이너들의 생각과 스토리를 아카이빙하여 그동안 걸어온 이들의 삶이 사라지지 않는 유의미한 가치로 남기를 바랍니다. 지역의 디자인 산업을 살리는 것은 결국 사람의 힘이라는 것을 믿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디자이너들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