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에서는 지난시간 정말 많은 디자이너들과 만나왔습니다. 모든 삶을 직접 살아볼 수 없기에 우리가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듯이 그들과 나누었던 진솔한 이야기들은 프로토의 행보에 많은 영감과 방향성을 제시해주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을 프로토의 모든 디자이너들과 나누고자 디자이너들의 경험과 생각을 아카이빙 하고자 합니다. 프로토가 그랬듯 각기 다른 경험과 생각을 가진 디자이너들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겐 또 다른 간접경험이 되어 디자이너로서의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부산의 디자이너부터 나아가 전국의 디자이너들을 이 곳에서 만날 수 있길 바라며 인터뷰가 도움이 되셨다면 따뜻한 댓글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interview
그래픽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은유현 님

Q. 안녕하세요.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나를 세가지 단어로 소개해주셔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은유현입니다. 현재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을 하고 있으며, 그 외에 일러스트 작업이나 사진 작업도 틈틈이 하고 있습니다.
Q.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어떤 것이 있나요?
회사 다니면서 실무를 꾸준히 하고 있고요. 개인적으로는 틈틈이 그림을 그리면서 일러스트와 관련된 행사 참여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Q. 어떻게 디자이너를 시작하게 되셨나요? 그리고 디자이너로 일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제가 초등학생 때 부터 만화를 정말 많이 봤었는데 그때는 애니메이션 움짤을 추출하거나 축전을 만들어서 네이버 카페에 자랑 했던 시기가 있었어요. 저도 그런 작업을 만들고 싶어서 장미가족의 포토샵 교실이라는 책을 통해 하나씩 만들어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어렸을 때 부터 나름 그런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데, 마침 중학생 때 진로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고 포토샵으로 이것저것 만드는 것을 좋아하니 이걸로 진로를 선택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습니다.
특히나 미대는 수학을 수능 성적에 반영 안한다는 말을 듣고 더더욱 이 직업에 대한 확신을 굳혔어요. 이거다 싶었죠. 전 수학을 굉장히 싫어했거든요...
Q. 디자이너로서 일할 때 가장 힘든 점, 가장 보람을 느낄 때를 각각 한가지씩 꼽는다면?
가장 힘든 점은 인쇄 발주 다 했는데 오탈자나 사이즈 미스를 발견하게 됐을 때 입니다. 발주 하기 전에 꼼꼼하게 체크했는데 이런 일이 발생하면 자괴감이 너무 들어요. 특히나 저만 힘든게 아니라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주기 때문에 정말 최악이죠.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그냥 지나가면서 '어, 저 디자인 멋지다.' 라고 말 한마디 들었을 때 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과 풍경이 있겠어요. 그런데 그 찰나의 순간에 제 디자인을 보고 칭찬 해주신거니까 정말 기분이 좋죠.
Q. 해왔던 작업 중 기억에 남는 작업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2018년 망원동에서 학교 선배이자 친한 언니와 함께 작업했던 <HIDDEN ARCADE> 전시 입니다.
2018년은 저에게 있어서 정말 격변의 시기였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대학생때 배웠던 지식들과 회사에서 원하는 작업 스타일이 너무 달라서 좌절도 했었고, 대체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이것저것 도전만 했었던 시기였어요. 그 도전 중에 하나가 <HIDDEN ARCADE> 전시였고, 대학을 벗어나 처음으로 외부 인력과 컨텍하며 홍보를 했었던 첫 걸음에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지금의 제가 봤을 때 어떻게 그 작업을 준비했었는지 놀라움도 느껴지고요. 그땐 회사에서 풀타임 근무를 한 뒤 퇴근 후에 작업을 했었고, 하루만 딱 시간을 내서 전시 설치까지 마무리 했습니다. 지금 돌이켜 보면 어떻게 했나 몰라요.(웃음)




Q. 작업에 자양분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제 작업의 자양분은 8할이 덕질에서 나옵니다. 전 정말 다양한 영역의 덕질을 했었어요. 만화나 애니메이션은 기본이고 케이팝 아이돌, 제이팝 아이돌, 웹툰, 성우, 배우, 잡지 등등 인생에서 덕질이 없었던 시기가 없었어요. 그때 느꼈던 벅차오름이나 행복감, 좋았던 이미지들이 작업의 자양분이 된 것 같아요.


Q. 디자이너 커뮤니티는 디자인 업무에 도움이 됐나요?
네, 업무적으로 도움이 됐어요. 제가 혼자 일을 하다보니 가끔씩 막힐 때가 있거든요. 어떤 인쇄소가 좋은지 어떤 종이질감이 어울리는지 이런 것들이요. 이런 답변 하나하나가 초보 디자이너를 살릴 수 있습니다. (웃음)
Q. 그룹 프로토의 프로그램이 디자인 활동에 도움이 됐나요?
제가 부산에 다시 내려오게 됐을 때 부산에 있는 디자이너분들과 소통이 절실 했었거든요. 그런데 프로토를 발견하고 프로토를 통해 부산에 있는 디자이너 분들을 빠르게 파악 할 수 있었어요. 그 부분이 참 좋았었습니다.
다만 제가 아직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지 못해서 아쉬웠어요. 소소나님의 한글 레터링 수업을 들으면서 조금이라도 그 분야에 관심 있었던 분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점이 참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는데, 좀 더 부산에 있는 디자이너분들을 알고 싶어요. 제가 더 열심히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Q. 업무 외 시간에는 주로 무엇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업무 외 시간은 침대에 누워서 덕질을 하거나 한 시간 정도 등산 하러 갑니다. 개인작업도 틈틈이 하고 있고요. 작업에 대한 아이디어는 만화나 애니메이션 혹은 뮤직비디오 같은 매체를 통해 얻습니다.

Q. 아이디어가 잘 안 떠오를 때 뭘 하시나요? 특별히 들으시는 추천 노동요가 있나요?
아이디어가 안 떠오르면 떠오를 때 까지 붙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 노동요가 귀에 안 들려요. 제가 성격이 많이 급해서요. (웃음)
아이디어가 떠올라야 결국 일을 진행 할 수 있는거잖아요. 억지로 떠올린다고 해서 답이 나오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떠오를 때 까지 노력이라도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사실 이 방법이 좋은지 나쁜지는 모르겠어요. 빠른 시간안에 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때 이렇게 하는게 더 좋았을텐데...' 하고 다른 방안이 떠오르더라고요.
Q. 최근의 참신한 경험 혹은 요즘 디자이너님께 가장 흥미를 주는 건 무엇인가요?
요즘 저에게 가장 흥미를 주는 건 애니메이션입니다.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많이 본다고 했지만 압도적으로 만화책을 더 많이 보거든요. 그런데 요즘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움직임이나 작화가 너무 훌륭한 결과물들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그런 결과물을 보면 언젠가는 저도 '움직임'을 줄 수 있는 작업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마음을 느끼게 해주더라고요.
Q. 어떤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좋은 디자인을 위해 디자이너로서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나요?
0.1초 슬쩍 봤을 때 '눈에 띈다' 라고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인 것 같아요. 우리는 짧은 찰나의 순간에 많은 정보를 담아내잖아요. 특히나 요즘 같은 모바일 시대에와 숏폼이 유행하는 시대에는. 그런 방대한 자료를 제치고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있다면 절반은 성공한거라 생각합니다. 그 뒤에는 논리와 설득력이 절반을 차지하고요. 양보 할 수 없는 부분도 이 점과 비슷합니다!

Q.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한 태도 혹은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덕목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설득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설득을 해야 주변 사람들에게 휘둘리지 않게 되거든요. 이건 사실, 저 스스로한테 하는 말이기도 해요. 회사 다닐 때, 빨리 퇴근하고 싶어서 원하는대로 다 수정해줬더니 점점 주도권을 빼앗기게 되더라고요.
Q. 로컬에서의 디자이너 업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서울에 비하면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인쇄 부터 시작해서 사람들이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라던지... 그런 부분이 살짝 아쉽긴 해요.
Q. 여전히 로컬의 많은 디자이너들이 서울행을 고민하고 있어요. 부산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로서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서울행을 원한다면 추천해보고 싶어요. 뭐든 경험하는게 좋잖아요. 그래서 서울행이 아니라 다른 지방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저는 가라고 할 것 같아요. 그 경험을 통해서 어디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답을 내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부산의 디자인 일자리 혹은 일거리가 없다는 평이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하기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프로 이직러로서(웃음) 서울에서도 일자리를 자주 구했었고 부산에서도 일자리를 자주 구했었는데 서울은 일자리도 많지만 저를 대신할 인력도 많잖아요. 그리고 코로나 이후로 비대면 일자리가 조금씩 활성화 되는 것 같아요.
제가 일하고 있는 곳 중에 한 곳은 대표님은 제주도에 계시고 저는 부산에 있어서 비대면 미팅으로 회사 업무를 하고 있거든요.
틈새시장을 어떻게 공략하느냐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봅니다.
Q.로컬 디자이너로서 우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뭐라고 생각하나요?
점점 수도권으로 일이 집중되는 현상입니다.
글 ㅣ 디자이너 그룹 프로토(instagram.com/group.proto)
사진 및 자료 제공 ㅣ 은유현(EunYouhyun)
👤은유현
메일 ㅣlorina8001@naver.com
인스타그램 ㅣ@aptzl8001
프로토에서는 디자이너들의 생각과 스토리를 아카이빙하여 그동안 걸어온 이들의 삶이 사라지지 않는 유의미한 가치로 남기를 바랍니다. 지역의 디자인 산업을 살리는 것은 결국 사람의 힘이라는 것을 믿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디자이너들을 응원합니다.
프로토에서는 지난시간 정말 많은 디자이너들과 만나왔습니다. 모든 삶을 직접 살아볼 수 없기에 우리가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듯이 그들과 나누었던 진솔한 이야기들은 프로토의 행보에 많은 영감과 방향성을 제시해주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을 프로토의 모든 디자이너들과 나누고자 디자이너들의 경험과 생각을 아카이빙 하고자 합니다. 프로토가 그랬듯 각기 다른 경험과 생각을 가진 디자이너들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겐 또 다른 간접경험이 되어 디자이너로서의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부산의 디자이너부터 나아가 전국의 디자이너들을 이 곳에서 만날 수 있길 바라며 인터뷰가 도움이 되셨다면 따뜻한 댓글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interview
그래픽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은유현 님
Q. 안녕하세요.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나를 세가지 단어로 소개해주셔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은유현입니다. 현재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을 하고 있으며, 그 외에 일러스트 작업이나 사진 작업도 틈틈이 하고 있습니다.
Q.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어떤 것이 있나요?
회사 다니면서 실무를 꾸준히 하고 있고요. 개인적으로는 틈틈이 그림을 그리면서 일러스트와 관련된 행사 참여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Q. 어떻게 디자이너를 시작하게 되셨나요? 그리고 디자이너로 일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제가 초등학생 때 부터 만화를 정말 많이 봤었는데 그때는 애니메이션 움짤을 추출하거나 축전을 만들어서 네이버 카페에 자랑 했던 시기가 있었어요. 저도 그런 작업을 만들고 싶어서 장미가족의 포토샵 교실이라는 책을 통해 하나씩 만들어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어렸을 때 부터 나름 그런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데, 마침 중학생 때 진로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고 포토샵으로 이것저것 만드는 것을 좋아하니 이걸로 진로를 선택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습니다.
특히나 미대는 수학을 수능 성적에 반영 안한다는 말을 듣고 더더욱 이 직업에 대한 확신을 굳혔어요. 이거다 싶었죠. 전 수학을 굉장히 싫어했거든요...
Q. 디자이너로서 일할 때 가장 힘든 점, 가장 보람을 느낄 때를 각각 한가지씩 꼽는다면?
가장 힘든 점은 인쇄 발주 다 했는데 오탈자나 사이즈 미스를 발견하게 됐을 때 입니다. 발주 하기 전에 꼼꼼하게 체크했는데 이런 일이 발생하면 자괴감이 너무 들어요. 특히나 저만 힘든게 아니라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주기 때문에 정말 최악이죠.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그냥 지나가면서 '어, 저 디자인 멋지다.' 라고 말 한마디 들었을 때 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과 풍경이 있겠어요. 그런데 그 찰나의 순간에 제 디자인을 보고 칭찬 해주신거니까 정말 기분이 좋죠.
Q. 해왔던 작업 중 기억에 남는 작업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2018년 망원동에서 학교 선배이자 친한 언니와 함께 작업했던 <HIDDEN ARCADE> 전시 입니다.
2018년은 저에게 있어서 정말 격변의 시기였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대학생때 배웠던 지식들과 회사에서 원하는 작업 스타일이 너무 달라서 좌절도 했었고, 대체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이것저것 도전만 했었던 시기였어요. 그 도전 중에 하나가 <HIDDEN ARCADE> 전시였고, 대학을 벗어나 처음으로 외부 인력과 컨텍하며 홍보를 했었던 첫 걸음에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지금의 제가 봤을 때 어떻게 그 작업을 준비했었는지 놀라움도 느껴지고요. 그땐 회사에서 풀타임 근무를 한 뒤 퇴근 후에 작업을 했었고, 하루만 딱 시간을 내서 전시 설치까지 마무리 했습니다. 지금 돌이켜 보면 어떻게 했나 몰라요.(웃음)
Q. 작업에 자양분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제 작업의 자양분은 8할이 덕질에서 나옵니다. 전 정말 다양한 영역의 덕질을 했었어요. 만화나 애니메이션은 기본이고 케이팝 아이돌, 제이팝 아이돌, 웹툰, 성우, 배우, 잡지 등등 인생에서 덕질이 없었던 시기가 없었어요. 그때 느꼈던 벅차오름이나 행복감, 좋았던 이미지들이 작업의 자양분이 된 것 같아요.
Q. 디자이너 커뮤니티는 디자인 업무에 도움이 됐나요?
네, 업무적으로 도움이 됐어요. 제가 혼자 일을 하다보니 가끔씩 막힐 때가 있거든요. 어떤 인쇄소가 좋은지 어떤 종이질감이 어울리는지 이런 것들이요. 이런 답변 하나하나가 초보 디자이너를 살릴 수 있습니다. (웃음)
Q. 그룹 프로토의 프로그램이 디자인 활동에 도움이 됐나요?
제가 부산에 다시 내려오게 됐을 때 부산에 있는 디자이너분들과 소통이 절실 했었거든요. 그런데 프로토를 발견하고 프로토를 통해 부산에 있는 디자이너 분들을 빠르게 파악 할 수 있었어요. 그 부분이 참 좋았었습니다.
다만 제가 아직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지 못해서 아쉬웠어요. 소소나님의 한글 레터링 수업을 들으면서 조금이라도 그 분야에 관심 있었던 분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점이 참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는데, 좀 더 부산에 있는 디자이너분들을 알고 싶어요. 제가 더 열심히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Q. 업무 외 시간에는 주로 무엇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업무 외 시간은 침대에 누워서 덕질을 하거나 한 시간 정도 등산 하러 갑니다. 개인작업도 틈틈이 하고 있고요. 작업에 대한 아이디어는 만화나 애니메이션 혹은 뮤직비디오 같은 매체를 통해 얻습니다.
Q. 아이디어가 잘 안 떠오를 때 뭘 하시나요? 특별히 들으시는 추천 노동요가 있나요?
아이디어가 안 떠오르면 떠오를 때 까지 붙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 노동요가 귀에 안 들려요. 제가 성격이 많이 급해서요. (웃음)
아이디어가 떠올라야 결국 일을 진행 할 수 있는거잖아요. 억지로 떠올린다고 해서 답이 나오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떠오를 때 까지 노력이라도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사실 이 방법이 좋은지 나쁜지는 모르겠어요. 빠른 시간안에 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때 이렇게 하는게 더 좋았을텐데...' 하고 다른 방안이 떠오르더라고요.
Q. 최근의 참신한 경험 혹은 요즘 디자이너님께 가장 흥미를 주는 건 무엇인가요?
요즘 저에게 가장 흥미를 주는 건 애니메이션입니다.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많이 본다고 했지만 압도적으로 만화책을 더 많이 보거든요. 그런데 요즘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움직임이나 작화가 너무 훌륭한 결과물들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그런 결과물을 보면 언젠가는 저도 '움직임'을 줄 수 있는 작업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마음을 느끼게 해주더라고요.
Q. 어떤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좋은 디자인을 위해 디자이너로서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나요?
0.1초 슬쩍 봤을 때 '눈에 띈다' 라고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인 것 같아요. 우리는 짧은 찰나의 순간에 많은 정보를 담아내잖아요. 특히나 요즘 같은 모바일 시대에와 숏폼이 유행하는 시대에는. 그런 방대한 자료를 제치고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있다면 절반은 성공한거라 생각합니다. 그 뒤에는 논리와 설득력이 절반을 차지하고요. 양보 할 수 없는 부분도 이 점과 비슷합니다!
Q.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한 태도 혹은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덕목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설득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설득을 해야 주변 사람들에게 휘둘리지 않게 되거든요. 이건 사실, 저 스스로한테 하는 말이기도 해요. 회사 다닐 때, 빨리 퇴근하고 싶어서 원하는대로 다 수정해줬더니 점점 주도권을 빼앗기게 되더라고요.
Q. 로컬에서의 디자이너 업무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서울에 비하면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인쇄 부터 시작해서 사람들이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라던지... 그런 부분이 살짝 아쉽긴 해요.
Q. 여전히 로컬의 많은 디자이너들이 서울행을 고민하고 있어요. 부산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로서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서울행을 원한다면 추천해보고 싶어요. 뭐든 경험하는게 좋잖아요. 그래서 서울행이 아니라 다른 지방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저는 가라고 할 것 같아요. 그 경험을 통해서 어디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답을 내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부산의 디자인 일자리 혹은 일거리가 없다는 평이 많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하기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프로 이직러로서(웃음) 서울에서도 일자리를 자주 구했었고 부산에서도 일자리를 자주 구했었는데 서울은 일자리도 많지만 저를 대신할 인력도 많잖아요. 그리고 코로나 이후로 비대면 일자리가 조금씩 활성화 되는 것 같아요.
제가 일하고 있는 곳 중에 한 곳은 대표님은 제주도에 계시고 저는 부산에 있어서 비대면 미팅으로 회사 업무를 하고 있거든요.
틈새시장을 어떻게 공략하느냐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봅니다.
Q.로컬 디자이너로서 우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뭐라고 생각하나요?
점점 수도권으로 일이 집중되는 현상입니다.
글 ㅣ 디자이너 그룹 프로토(instagram.com/group.proto)
사진 및 자료 제공 ㅣ 은유현(EunYouhyun)
👤은유현
메일 ㅣlorina8001@naver.com
인스타그램 ㅣ@aptzl8001
프로토에서는 디자이너들의 생각과 스토리를 아카이빙하여 그동안 걸어온 이들의 삶이 사라지지 않는 유의미한 가치로 남기를 바랍니다. 지역의 디자인 산업을 살리는 것은 결국 사람의 힘이라는 것을 믿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디자이너들을 응원합니다.